
- 개요
- 처방에서 발생한 전산 처방을 관리하고 직접 입력한 내용을 조회한다.
- 스캔 으로 입력된 스캔 처방을 조회한다.
- 화면 설명
- 상단의 툴바는 “신규”,”저장”,”작성”,”색인”,”보기”,”인쇄”,”화면”,”문장 검색”,”DB(DB Temp 열기)”, “DBMgr(DB Temp 저장)”, 그림, Temp 열기, Temp 저장, 도움말, 종료” 로 구성되어 있다.
- “신규” : 화면이 초기화 상태로 변하여서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. DB에 입력된 사항은 삭제되는 것이 아니고 화면에서만 사라진 것이다.
- “저장” : 저장할 내용이 존재하면 -상위 제목이 초록색- 화면의 내용을 DB 에 저장하고 -상위 제목이 파란색 - 화면의 수정된 내용을 저장한다.
- “작성” : 상위 제목(서식지 항목) 에 해당되는 하위 제목을 선택하거나 상위 제목이 새로운 것이라면 상위 제목을 생성 시킨 후에 활성화 된 하위 제목을 선택한다. 하위 제목의 선택을 취소하려면 마우스 의 오른쪽 클릭으로 제어한다. * 경과 기록지 항목은 초기 항목으로 ‘Progreess note’ 를 표기하고 필요 시 항목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.
- ”서식지 항목” : 변경하여 입력된 처방 들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회하여서 차트 작성기 로 조회한다.
- “색인” : 입력된 처방 들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회하여서 차트 작성기 로 조회한다.
- “보기” : 선택된 조건에 맞추어서 재 조회 한다. * 초기의 조회 조건은 사용자 별 환경 설정에 따른다. * 사용자가 정의한 Function Key 를 근거로 서식지 집합으로 조회할 수 있다.
- “일수/횟수” : 선택하면 ‘일수’ 조건은 설정된 기간의 범위에 있는 처방을 조회한다. ‘횟수’조건은 설정된 “횟수” 콤보 박스의 양 만큼씩 조회 한다.
- “서식” : 체크 버튼이 선택되어 있으면 “서식지 항목” 에 해당되는 처방만 을 조회 한다.
- “인쇄” : 환경 설정에 내용에 따른 내용을 출력한다. 기본적으로 화면의 내용을 모두 출력한다.
- “화면” : 사용자에 따른 화면의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다.
- “문장 검색” : 사용자가 등록한 문장을 검색할 수 있다.
- “DB(DB Temp 열기)” :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된 템플릿 처방을 불러와서 작성 할 수 있다. 어느 곳 에서 나 사용 가능하다.
- “DB(DB Temp 저장)” : 사용자가 처방을 템플릿 으로 작성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. 어느 곳 에서 나 사용 가능하다.
- “그림” : 차트에 삽입할 수 있는 그림을 수정/입력 할 수 있다.
- “Temp 열기” :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된 템플릿 처방을 불러와서 작성 할 수 있다. 사용된 PC에서만 저장되므로 사용상 의 제약이 존재함.
- “Temp 저장” : 사용자가 처방을 템플릿 으로 작성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. 사용된 PC 에서만 저장되므로 사용상 의 제약이 존재함.
- “도움말” : ‘차트 작성기’ 에 대한 사용 방법을 조회 할 수 있다.
- “종료” : ‘차트 작성기’ 의 작업을 마감한다.
- 기능 설명
- 상위 제목 삽입 : 툴바의 “작성” 을 선택한다. 서식지와 환자의 정보를 가지고 제목의 내용을 구성한다.
- 하위 제목 삽입 : ‘상위 제목 삽입’ 을 하면 자동으로 선택된다. 작성 중인 화면의 항목들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다.
- 상위 제목 삭제 : 작성 중인 상위 제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선택 할 수 있다.
- 하위 제목 삭제 : 작성 중인 상위 제목 에 포함된 하위 제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다.
- 문장 완성 작성 : 사용자 가 등록한 단어의 첫 번째 글자를 입력한 후에 ‘Esc’를 선택하면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.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별한다.
- 문장 완성 작성2 : 유사 단어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문장을 완성 할 수 있다.
- 사용자 단어 등록 : 사용자 단어를 등록하려면 등록하려는 문장(단어: 50자 까지 가능)을 블록으로 설정한 후에 등록한다. * 유의 사항 : 예를 들어서 ‘chest’,’chest PA’ 를 등록하였다면 ‘c’만을 입력한 후에 조회하면 ‘chest’ 만을 가져온다. ‘chest PA’ 를 가져오려면 ‘chest’로 시작된 단어가 없어야 한다. 또한 ‘chest’ 와 ‘PA’ 사이 스페이스 가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.
- 예제 차트 저장 :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차트의 구조를 예제로 저장하여서 저장된 예제를 가져와서 환자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서 사용한다.(전산 처방-slip-은 예외)
- ‘발행처’ : 외래/입원/전체 로 변경하여서 내용을 조회한다. 작성 단계로 변경이 되면 자동으로 환자를 선택한 발행처 로 바뀌게 된다.